T test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.
모집단의 분산이나 표준편차를 알지 못할 때,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으로부터 추정된 분산이나 표준편차를 가지고 검정하는 방법
위와 같이 정의할 수 있겠다. 즉 t test란 어떤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고자 할 때, 모집단이 아닌 샘플 집단에서 시행되는 것을 말한다. 예를 들어, 학교에 반 A와 B가 있는데 두 반의 평균 키를 비교한다고 하면 이것은 t test가 된다. 두 집단의 평균이 실제적으로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, 차이가 유의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.
T-test의 종류
대표적으로 t-test는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겠다.
- independent t-test
- paired t-test
각각에 대해서 서술해보자면,
- independent t test
위에서 예시를 들었던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. 즉 독립된 두 집단의 평균이 다른지를 비교하는 것이다. 이 검정을 통해서 두 집단의 모집단이 서로 같은지 다른지를 판별할 수 있다. - paired t test
같은 집단 내에서 비교할 때 이 test를 시행하게 된다. 보고자 하는 것은 두 집단이 어떤 시점 전후로 달라진 것이 있는지 여부이다. 예를 들어, 어떤 약을 주기 전과 후의 상태를 비교하고자 할 때 이 테스트를 이용한다고 할 수 있다.
오늘은 t test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 사실 별거 없다. 통계는 그래도 용어를 잘 알아두는 작업이 필요한 것 같다. 기초가 없다면 후반부로 갈수록 더 어려워지는 것이 통계라고 생각한다.
오늘은 여기까지다!
'Medical Stat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NOVA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21.11.19 |
---|---|
T test 혹은 ANOVA 진행시 확인해야 하는 것 (0) | 2021.11.15 |
Cohort Study(코호트 연구) (0) | 2021.11.03 |
Case-Control study 실험-대조군 (0) | 2021.11.01 |
RCT의 장점과 단점 (0) | 2021.10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