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NOVA, 이름이 뭔지 모르겠다. Analysis of Variance의 줄임말이다. 한국말로 번역하면 분산 분석이라고 하는데,
보통 3개 이상의 연속형 자료를 비교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. 예를 들어 A, B, C 집단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 싶을 때 쓰이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.
ANOVA의 귀무가설(H0)은 모든 집단의 평균은 같다, 혹은 모든 집단의 검정하고자 하는 통계치가 같다, 이다.
통계적으로 유의해서 만일 귀무가설(H0)을 기각하게 될 경우 사후 분석(post-hoc)을 해줘야 한다. 이를 위해 multiple comparsion을 진행하게 되는데, 주로 여기서 Bonferroni 혹은 Dunnett procedure가 사용된다.
ANOVA를 진행할 때 가정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.
- 정규성 : 각각의 그룹들의 분포 형태가 정규분포를 따른다
- 독립성 : 각 관측치들이 독립이어야 한다.
- 분산의 동질성 : 비교되는 그룹들의 분산이 어느 정도 비슷해야 한다.
'Medical Stat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lcoxon rank-sum test(윌콕슨 순위합 검정) (0) | 2021.11.24 |
---|---|
비모수 검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(0) | 2021.11.22 |
T test 혹은 ANOVA 진행시 확인해야 하는 것 (0) | 2021.11.15 |
T test (T 검정) (0) | 2021.11.04 |
Cohort Study(코호트 연구) (0) | 2021.1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