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험-대조군 연구와 비슷하지만 다른 연구 설계인 코호트 연구에 대해서 적어보고자 한다.
일단 구도는 노출군 vs 비노출군(un-exposed)으로 진행된다. 예를 들어서 담배에 노출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비교하여 질병 발생의 연관성을 연구한다면 이것은 코호트 연구가 된다. 하지만, 실험-대조군과 사실 헷갈리는 것은 나만 그런걸까?
그래서 교수님께 이 이슈에 대해서 질문을 해보았더니 교수님께서는 목표하는 바가, 그러니까, 관찰하고자 하는 바(outcome)가 확실한 상태에서 집단을 나눈다면 이것은 실험-대조군 연구라고 하셨다. 예를 들어 우리가 담배를 피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폐암 발생률을 비교하겠다고 한다면 이것은 실험-대조군 연구라는 것이다. 하지만 만일 우리가 단순히 담배를 피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고, 그 안에서 두 집단 간에 폐암 발생률의 차이를 발견했다면, 이것은 코호트 연구가 되는 것이다. 다시 말해서,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것, 그 시작점이 어떤 결과라면 실험-대조군 연구, 일단 코호트를 나눠서 보고자 한다면 코호트 연구가 되는 것이다.
코호트 연구의 잠재적 이슈는 다음과 같다.
- 정보 편향
- 무응답, 후속 조치 손실
- 인과관계 추론 어려움
오늘은 여기까지!
'Medical Stat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 test 혹은 ANOVA 진행시 확인해야 하는 것 (0) | 2021.11.15 |
---|---|
T test (T 검정) (0) | 2021.11.04 |
Case-Control study 실험-대조군 (0) | 2021.11.01 |
RCT의 장점과 단점 (0) | 2021.10.31 |
표준편차(standard deviation)와 표준오차(standard error) (0) | 2021.10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