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학통계에서 중요한 연구 설계 중 하나, RCT(Randomized Clinical Trial)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.
먼저 장점은
- 최적의 증거 연구 설계
- 최소 편향(블라인딩 이용) --> 어떤 편견 없이 객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!
- 가능한 교란 요인을 control 할 수 있음.
- 비교 가능한 그룹이 있다는 것
이처럼 RCT는 알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큰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, 이런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많은 값을 지불해야 한다. 이제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.
-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.
- 대상이 대표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
- 윤리적으로 어려운 연구일 수 있음
사실 RCT는 나쁘게 보면 생체 실험이다. (나쁘게 보면.. 말이다) 약을 사용하기 이전에 그 안전성을 검증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오로지 RCT 밖에는 없기 때문에 많은 신약 개발을 할 경우 RCT를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. 또한, 이미 시판된 약이 있을 경우에 다른 약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RCT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. 이유가 어떻든 간에 RCT는 그 나름의 유익에도 불구하고 위험성이 늘 존재하는 실험이다.
'Medical Stat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hort Study(코호트 연구) (0) | 2021.11.03 |
---|---|
Case-Control study 실험-대조군 (0) | 2021.11.01 |
표준편차(standard deviation)와 표준오차(standard error) (0) | 2021.10.30 |
신뢰구간 95%의 의미 (0) | 2021.10.27 |
유의수준이란? (0) | 2021.10.26 |